그래주식

매매기법, 주식기법, 주식차트, 주식 일정 정리, 무료주식추천, 종목 분석, 주식 기초

  • 2024. 11. 30.

    by. 그래주식

    CPI 즉,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일정을 정리해봤습니다. 발표 일정과 함께 CPI가 경제와 투자에 미치는 영향도 확인해보세요.

    1.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란?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항목을 제외한 지표입니다. 이는 경제 전반의 기초적인 물가 상승률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앙은행은 통화 정책을 결정할 때 이 지표를 참고하여 금리 인상 또는 완화 여부를 결정합니다.

    💡 예를 들어, 근원 CPI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으로 물가를 안정시키려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미국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CPI) 발표 일정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2024년과 2025년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매월 미국 동부 시간(EST) 오전 8시 30분에 발표되며, 한국 시간으로는 오후 10시 30분(서머타임 시 오후 9시 30분)입니다. 발표 일정은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제공합니다. 2024년 20205년 발표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발표일 2025년 발표일
    1월 1월 11일 (목) 1월 16일 (목)
    2월 2월 13일 (화) 2월 14일 (금)
    3월 3월 12일 (화) 3월 13일 (목)
    4월 4월 10일 (수) 4월 10일 (목)
    5월 5월 15일 (수) 5월 15일 (목)
    6월 6월 12일 (수) 6월 11일 (수)
    7월 7월 11일 (목) 7월 11일 (금)
    8월 8월 14일 (수) 8월 13일 (수)
    9월 9월 11일 (수) 9월 11일 (목)
    10월 10월 10일 (목) 10월 10일 (금)
    11월 11월 13일 (수) 11월 13일 (목)
    12월 12월 11일 (수) 12월 11일 (목)

    CPI 지수 바로보기

     

    3. 미국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CPI) 발표의 경제적 중요성

    1. 인플레이션 지표: CPI는 인플레이션의 주요 지표로 활용되며, 경제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통화 정책 결정: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CPI를 바탕으로 금리 조정 여부를 판단합니다.
    3. 시장 반응: CPI 발표 직후에는 주식시장, 외환시장, 채권시장에서 변동성이 커지므로 투자자들은 발표에 주목합니다.

    인플레이션 지표

    4. 발표 일정에 따른 투자 전략

    발표 전 전략

    • 포지션 조정: 발표 직전에는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보수적인 포지션을 유지하세요.
    • 관련 업종 분석: CPI에 민감한 업종(소비재, 에너지)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세요.

    발표 후 전략

    • 즉각적인 시장 반응 관찰: CPI 발표 이후 몇 시간 동안 시장의 흐름을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 장기적 시나리오 수립: 예상치와 결과치의 차이에 따라 장기 투자 계획을 수정하세요.

    💡 TIP: CPI발표는 단기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금리 추세와 결합해서 분석하는게 좋습니다.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5. CPI와 관련된 FAQ

    Q1.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근원 CPI와 전체 CPI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근원 CPI는 전체 CPI에서 식품과 에너지 항목을 제외한 지표입니다. 이 항목들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경제의 기초적인 물가 상황을 파악하려면 근원 CPI를 참고합니다. 

    Q2. CPI는 어떤 항목들로 구성되나요?

    주거비, 의료비, 의류, 교통비, 교육비 등 일상생활에서 소비되는 주요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Q3. CPI 발표 후 시장에서 즉각적으로 해야 할 일은?

    발표된 수치를 확인하고 예상치와 비교하여 시장 반응을 분석하세요.특히, 외환시장이나 주식시장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자산을 점검하세요.